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문제가 많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PF관련 대출 부실화와 역전세 문제가 많이 언급되고 있어
오늘은 이 용어에 대해 쉽게 설명 해볼까합니다.
부동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란?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 중 하나로, 개발 수익(= 미래에 건물을 팔거나 빌려줘서
생기는 돈)을 예상해서 대출을 받는 것을 말합니다.
즉, 사업 자체의 성공 가능성과 미래의 현금 흐름을 기반으로 자금을 빌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 아파트나 상가를 짓는 회사가 있습니다.
이 회사는 건물을 완성한 후에 팔거나 임대해서 돈을 벌 계획으로 은행에 "나중에 돈을 갚을게"라고 약속하고
돈을 빌리게 됩니다.
2. 건물이 모두 지어지고 회사의 계획대로 잘 된다면 은행에 돈을 갚을 수 있습니다.
3. 그렇다면 반대의 경우라면? 돈을 갚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됩니다.
장점
1. 대규모 자금 조달 : PF는 대규모 자금을 한꺼번에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큰 큐모의 프로젝드를 진행할 때 유용합니다.
2. 리스크 분산 : 위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투자자와 금융기관 모두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실패할 경우 금융기관이 리스크의
일정 부분을 부담하게됩니다.
단점
1.위험성 : 프로젝트 실패시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할 위험성이 있습니다.
이는 부동산경기 침제 및 분양 실패등의 요인으로 부실화 될 가능성이 큽니다.
2. 복잡한 구조 :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얽혀 있어 계약 구조가 복잡하고, 금융기관 간 협의가 필요합니다.
한국에서도 PF는 대규모 부동산 개발에서 많이 사용되고, 최근 부동산 경기침체로 인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사업장은 부도 위험에 처해있어 금융당국이 위기 대응책을 마련 중에 있습니다.
성공 시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실패시 경제에 미치는 영양도 크기 때문에 각국에서 주의 깊게 관리하고 있는
금융 방식 중 하나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반도체 3배 레버리지(롱) ETF "SOXL" 특징, 주가추이 및 투자전력 (6) | 2024.09.24 |
---|---|
미국 주식 반도체 3배 인버스(숏) ETF "SOXS" 특징, 주가추이 및 투자전력 (6) | 2024.09.23 |
골디락스 경제란? (10) | 2024.09.19 |
엔비디아(Nvidia) 3배 레버리지(롱) ETF "NVD3"의 특징 및 투자전략 (6) | 2024.09.17 |
소비자물가지수(CPI)란? (6) | 2024.09.13 |